로스팅 Roasting
-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이끌어 내는 방법
- 품종, 원산지, 가공방법, 보관상태 등에 따라 다름
- 수분을 방출시키며 생두의 조직을 이완시키는 작업 (생두가 팽창한다 의미)
로스팅 방식 분류
- 직화식 >> 가스를 이용, 드럼에 직접 열을 전달
질감이 높지만 원두가 탈 수 있음
균일한 로스팅이 어렵다 (복사열+전도열)
원리) 원통형 드럼의 회전에 의한 로스팅
통 속에 생두를 넣고 열을 가하여 생두 볶음
장점) 경제적이다, 커피의 맛과 향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널리 사용하는 방법
단점) 생두의 평창이 적고, 균일한 로스팅이 어려움
- 발열풍식 >> 드럼 표면의 구멍과 후면의 구멍을 통해 동시에 열 전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 전도열 + 대류열
직화식에 비해 균일한 로스팅 효과 (30분 이상 예열)
원리) 직화식 로스터의 변형 / 드럼 뒤쪽에서 내부로 열풍이 전달
되어 연소가스가 드럼 내부로 순환
장점) 열효율이 높아 직화식보다 균일한 로스팅 가능
단점) 이동이 불편하고 비용 부담 커 사용화 어려움
- 열풍식 로스터 >> 고온의 열풍을 드럼 내부로 직접 전달하는 방식
드럼 용량에 따라 원두를 동시에 로스팅 할 수 있다
균일한 맛과 향을 표현, 소량 로스팅에 적합
전기를 사용한 대류열로 로스팅(30분 이상 예열)
원리) 열품을 원두 사이로 순환시켜 로스팅
장점) 균일하고 단시간에 로스팅이 가능
대량으로 생두를 볶을 때 사용
인스턴트 커피 제조용으로 많이 사용
단점) 드럼로스터보다 개서의 표현 어려움
Key Point
로스팅이란 ? 생두의 열을 가해 생두의 조직을 파괴하고 생두의
여러 가지 성분을 이끌어 내는 과정
기본원리
건조 Drying - 열분해 Roasting - 냉각 Cooling
물리적 특성 변화
질량(감소) 부피(증가) 밀도(감소) 수분함량(감소) 유기물(감소)
댐퍼 Damper
드럼 내부의 배기량 조절장치, 개폐 시에 연기를 조절하여
맛과 향을 결정 가능
'자격증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팅 과정 3번째 (0) | 2020.09.07 |
---|---|
Roasting 과정 (0) | 2020.09.06 |
커피 생산지별 원두 특징 (0) | 2020.09.04 |
커피 원두 생두의 특징 이해 (0) | 2020.09.02 |
커피 분류 및 등급 규정 및 보관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