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래곤
study 관련자료를 한곳으로 자기 개발 목적으로 재태크 재무 관리 목적으로 일상생활의 팁을 공유 하기 위하여 블로그를 개설 하였습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반응형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Net Project/JavaScript'에 해당되는 글 19

  1. 2009.07.30 12장 논리연산자
  2. 2009.07.30 11장 관계연산자
  3. 2009.07.30 10장 산술연산자
  4. 2009.07.30 08장 변수선언 초기화 함수
2009. 7. 30. 16:35 .Net Project/JavaScript
반응형

 ♣부울 대수 개념
1854년에 발표된 '사고의 법칙'에서 AND, OR, NOT이라는 연산자를 사용해 이진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델로 논이적인 판단을 수학적으로 해서하기 위해 영국의 수학자 George Boole이 제안한이론 입니다.

정보를 '참' 또는 '거짓'이라는 두 개의 논리로 표현

부울대수의 변수는 0또는 1의 값을 갖는다. 부울 함수는 AND, OR, NOT연산자와
(, +로 정의되며 연산 결과는 언제나 1. 또는 0으로 표현 됩니다

결과는 수학적인 값 1 또는 0 아니라 명제의 참(1)과 거짓(0), 신호의 유(1) 또는 무(0), 스위치의 ON(1) 또는 OFF(0) 상태를 의미 하고 있습니다


                                  
                                      <AND, OR, NOT 연산자 진리표>

논리연산자? AND, OR, NOT 을 표현하는 연산자

&&  피연산자가 모두 참이면 true 반환 (and 의미) a && b
||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 반환 (or 의미) a || b
!     피연산자가 true면 false 를, false면 true 를 반환 (not 의미) !a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12장.논리연산자</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 && 연산잔(AND) : 둘다 참일때 참
        // || 연산자(OR) : 하나라도 참이면 참
        // ! (NOT): 반대 
        
        //true && true ->(AND) true
        document.write( (10 > 5) && (5 != 3) + "<br />"); //결과하면 true
       
        //ture || false -> (OR) true
        document.write( ((10 >= 5) || (5 == 3)) + "<br />"); // 결과화면 true

        //!false -> true (NOT) 반대
        document.write( !(10 <= 5) ); // 결과하면 true       
    </script>
</head>
<body>
</body>
</html>


반응형

'.Net Projec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장 대입연산자  (0) 2009.07.30
13장 조건연산자(삼항연산자)  (0) 2009.07.30
11장 관계연산자  (0) 2009.07.30
10장 산술연산자  (0) 2009.07.30
08장 변수선언 초기화 함수  (0) 2009.07.30
posted by 래곤
2009. 7. 30. 16:20 .Net Project/JavaScript
반응형

관계연산자 ? 관계를 따지는 연산자라는 의미 쉽게 말해서 a 는 b 보다 큰가를 a > b 로 표현 
조건이 만족되면 true 값이 출력되고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false값이 출력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11장 관계연산자</title>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같은지), !=(다른지), >= > < <= true false 참 거짓으로 나타냄.
        var a = 3; //변수선언, 초기값=3
        var b = 5; //변수선언, 초기값=5

        //false (3과 5를 비교하여 같다면 True 다르면 false 출력       
        document.write((a == b) + "<br />"); 
       
        //true (3과 5를 비교하여 서로 다르면 true 같다면 false 출력  
          
        document.write((a != b) + "<br />"); 

        //3과 5를 비교하여 5가 더 큰 값이기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은 false가 된다        
        document.write(a >= b); //false
        document.write(a <= b); //true
           
    </script>
</head>
<body>
</body></html>
-------------------------------
관계 연산자 종류 대한 설명
  a가 b 보다 작은가? a < b 

>   a가 b 보다 큰가? a > b 

==  a가 b 와 같은가? a == b 

!=   a가 b가 같지 않은가?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은가?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은가? a >= b

반응형

'.Net Projec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장 조건연산자(삼항연산자)  (0) 2009.07.30
12장 논리연산자  (0) 2009.07.30
10장 산술연산자  (0) 2009.07.30
08장 변수선언 초기화 함수  (0) 2009.07.30
07장 자바스크립트 기본출력문  (0) 2009.07.30
posted by 래곤
2009. 7. 30. 16:02 .Net Project/JavaScript
반응형

산술연산자 정의 ?
산술 연산자는 모두 이항 연산자로 -, *, /, % 연산자가 있다.
각 연산자에 따라 피연산자로 올 수 있는 것이 조금씩 다릅니다. 문자형과 정수형은 모든 산술 연산자에 피연산자로 올 수 있으며, 실수형은 %연산자를 제외한 다른 연산자로 올 수 있습니다. 또한 포인터의 경우 +, - ,*, /, MOD 연산자에 올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해 하나 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 분석)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10장 산술연산자</title>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산술연산자 : +, -, *, /, %(MOD)
        //"10" 문자열로 인식
        //'10' 문자로 인식

        var intNum1 = 10; //변수선언후 초기값 지정
        var intNum2 = 3; //변수 선언후 초기값 지정
              
        //10+3 -> intNum=10 + intNum=3  결과화면 13
       
document.write(intNum1 + intNum2 + "<br />"); // 결과 13 출력
       

        //10%3 -> 몫:3 나머지:1 결과값:1(나머지값)
        document.write(intNum1 % intNum2 + "<br />"); // 결과 1 출력         
    </script>
</head>
<body bgcolor="#FF8000"> //배경색 지정
</body></html>

반응형

'.Net Projec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장 논리연산자  (0) 2009.07.30
11장 관계연산자  (0) 2009.07.30
08장 변수선언 초기화 함수  (0) 2009.07.30
07장 자바스크립트 기본출력문  (0) 2009.07.30
06장 자바스크립트 객체 속성 메서드  (0) 2009.07.30
posted by 래곤
2009. 7. 30. 15:45 .Net Project/JavaScript
반응형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08장 변수선언 초기화 참조</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1. 변수선언
        var num; //num이라는 이름으로 변수 선언
       
        var int_num=1234; //_(언더바)로 구분
        var strnum="1234"; //접두사(str)로 구분
        var MyNum='1234'; //두 번째 단어 이후의 첫자를 대분자로 구분
        var intMyAge = 21; //이상적인 변수 선언 방식         
         
        //2. 변수초기화(할당)
        num = 1234; //1234 초기값 대입

        //3. 변수 참조
        document.write("num이 입력되는 값:" + num + "<br />");  
     
    </script>
</head>
<body bgcolor="#FF8000">
//배경색을 지정
</body>
</html>

  변수(Variable) : 함수,이벤트 관련된 이름을 저장하고 임시적인 데이터 저장 공간

변수 이름 짓는 방법
 (!) 파스칼표기법 : var int_num = "1234"; 접두사(str) 구분                                     
 (!!) 헝가리언표기법 : 접두사(str)로 구분 var strnum="1234"; 접두사(str)로 구분
 (!!!) 낙타(Camel)표기법 :                
        var MyNum='1234'; 두번째 단어 이후의 첫자를 대문자로 구분

반응형
posted by 래곤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