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01. UNIX 기본적 이해 (기본적인 명령어)

래곤 2010. 5. 22. 22:08
반응형
1. 유닉스 기본 지식 및 목적
-  유닉스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정리를 하고 있으며,
- 컴퓨터의 경험이 전혀 없는 분이라면 기본적인 컴퓨터 용어를 미리 익히시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정리

2. 유닉스 계정에서의 사용자 관리
 -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권한, 즉 계정을 부여하는 일을 맡고 있는 사람을 시스템 관리자 라고 합니다.
 - 시스템 관리자, 흔히 수퍼우저라고 불리우는 루트는 시스템에 대해서 모든 사용권을 갖고 있습니다
 - 루트를 포함한 유닉스에 계정을 갖고 있는 사용자 모두는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절차를 사용
 1. Login 계정명 : 유닉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멀티유저 개념이기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 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유닉스는 영문자의 대소문자 구별이 확실히 구분되고 있으며 따라서 정확히 입력을 합니다

 2. Passwd :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보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특수기호 등과 같은 쉽게 연상할 수 
                   없는 기호를 사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Logout : 유닉스 시스템의 사용이 끝나면 기본적으로 "Logout" 또는 "Exit"를 입력하여 빠져 나오도록 합니다

3. 기본적인 명령어 사용하기
 - list 
         Is : 명령어  디렉토리과 파일의 리스를 보여줍니다.
         Is - al : a옵션은 Hidden속성으ㅢ 파일을 표시해주고 I 옵션은 파일의 종류, 사용권한 등 자세한 정보 보여줌
         Is - aC : a옵션은 기능과 함께 C옵션은 도스의 dir/w명령과 같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is - R : R옵션은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파일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 make directory
        mkdir :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
 
 - remove directory
        rmdir : 기존의 디렉토리를 삭제

 - changedirectory 
       cd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변경시 사용되며, 도스에서 같은 쓰임새이나 유닉스에서는 반드시 뒤에
              한칸 띄우고 '\' 대신에 '/'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 copy 
       cp : 디렉토리와 파일을 복사

 - move 
       mv : 디렉토리와 파일을 이동 할때 사용되며 또한 재명명의 효과도 있습니다.

 - remove 
      rm : 파일을 삭제할때 사용되며, 유닉스에서는 일단 삭제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항상
              중요한 파일들은 예비용으로 복사를 해두거나 삭제를 할 때 주의를 두고 사용 할 수 있도록 합니다.
     rm -i : 파일을 삭제 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삭제하려는 파일이 맞는지 확인하는 메시지를 화면 출력
     rm -r* : 현재의 디렉토리와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모든 파일들을 삭제합니다  

반응형